반응형

 

바이든 당선에 원/달러 환율 22개월만에 최저(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원/달러 환율이 1,120원 아래로 떨어져 약 22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6.5원 내린 1,113.9원으로 마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종 기자 =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국내 코스피 지수와 원화 가치를 계속 밀어 올리고 있다.

원화 가치는 22개월 만에 최고치로, 코스피 지수는 29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라섰다. 미 대선을 둘러싼 불확실성 해소와 막대한 경기 부양책 실현 기대감 등에 의한 미 달러화 약세가 코스피와 원화 강세를 이끌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30.70포인트(1.27%) 오른 2,447.20에 장을 마치며 2,450선에 바짝 다가섰다. 6일 연속 상승이다.

지수는 2018년 6월 12일(2,468.83) 이후 약 29개월 만에 최고치로, 지난 9월 15일(2,443.58)의 연고점도 넘어섰다.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당선으로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와 대규모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에 이어 매수세가 유입됐다.

여기에 중국의 경제지표 호조까지 더해지면서 강세가 지속됐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중국의 10월 수출이 예상치(9.2%)를 상회한 1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1.5% 이상 상승했다.

특히 기관과 함께 외국인의 매수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이 6천763억원 순매도에 나섰지만, 외국인은 기관과 함께 각각 3천억원 이상 순매수했다.

지난 한 달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원 이상(1조620억원) 순매수한 외국인이 이달 들어 매수 강도를 높여 2조원 가까이 사들이고 있다.

지속되는 달러화 약세가 외국인 매수세 유입의 배경 중 하나로 분석된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년 10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6.5원 내린 달러당 1,113.9원으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연저점을 다시 갈아치운 것이다. 지난해 1월 31일(1,112.7원) 이후 최저치다.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신흥국 통화 등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다.

미 대선 불확실성 해소에 더해 바이든 행정부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달러 약세 전망에 힘을 실었다.

중국과 강대강 대치를 이어간 트럼프 정부 때와는 달리 바이든 정부에선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바이든 정부가 관세 카드를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른 트럼프 정부와는 다를 것이라는 관측이 아시아 통화 환율의 전반적인 하락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바이든 시대'를 맞아 글로벌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지만, 미국과 유럽 주요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당국 개입 경계감 등은 환율의 추가 하락을 막는 요인이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75.92원으로 전 거래일 오후 3시30분 기준가(1,081.52원)보다 5.6원 내렸다.

반응형
반응형

원·달러 환율 1,113원으로 하락
'22개월만에 최저' 수출기업 당혹
코스피는 2,447···29개월來 최고
[서울경제]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며 9일 원·달러 환율이 1년 10개월 만에 최저치인 1,113원대로 떨어졌다. 바이든 행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위안화 강세가 원화가치를 더 강하게 이끌고 있다. ‘바이든 랠리’로 코스피지수는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6원 50전 내린 1,113원90전으로 마감했다. 올해 연저점을 다시 갈아치운 것은 물론 지난해 1월 31일(1,112원70전) 이후 최저치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5일 바이든이 승기를 잡자 1,130원대가 깨지더니 당선이 유력해진 6일 1,120원선으로 주저앉고 이날 또 떨어져 3거래일 만에 24원가량 급락했다. 바이든 정부가 대규모 추가 부양책을 추진하고 미중 무역갈등도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 약세가 예견되기는 했지만 예상보다 급격히 추락하자 시장 전문가들도 당황스러워하고 있다. 외환 당국도 원화가 위안화 강세와 연동해 1,100원대를 위협할 가능성이 커지자 쉽사리 개입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5일 1,163원대를 보인 환율이 한 달 만에 50원이나 급락해 수출기업들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환율 급락은 외국인의 증시 매수세가 강해지며 원화를 사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이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3,329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코스피지수는 1.27%(30.70포인트) 오른 2,447.20으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약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코스피지수는 9월15일(2,443.58)의 연고점도 넘어섰다.

바이든 효과에 중국의 경제지표 호조세가 더해져 아시아 각국 증시도 상승 랠리를 이어갔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12% 오른 2만4,839.84를 기록해 29년 만에 최고치를 다시 썼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홍콩 항셍지수, 대만 자취엔지수 역시 각각 1.6%, 1.16%, 1.19% 올랐다. /손철·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

반응형

미국증시 11-05

주식/지수 2020. 11. 6. 08:58 Posted by MOKUMOKU
반응형

미 대선과 여러가지 불확실성에도 미국증시는 좋은 흐름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는 어제보다 1.95퍼센트 오른 28.390.18에 마감했고 나스닥은 2.59퍼센트 상승한 11.890.93으로 마감했습니다.


원달러환율은 0.84퍼센트 내린 1,128.20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 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05 현재 미국 지수  (0) 2020.11.05
2020-11-05 09:35 현재 지수(코스닥,코스피)  (0) 202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