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국인, 한 주만에 사자…배터리株 매수 지속


아시아경제  / 2020-11-08 15:54:53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한 주만에 순매수로 돌아섰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배터리주에 대한 매수세를 지속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 2일부터까지 6일까지 한 주 동안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2조1250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피시장에서 1조9856억원을, 코스닥시장에서는 1393억원을 각각 사들였다.

 

외국인이 지난 주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LG화학이었다. 외국인은 지난 주 LG화학을 7144억원 순매수했다. 뒤이어 삼성전자를 2426억원 사들였다. 이밖에 삼성SDI(2356억원), 카카오(1706억원), 네이버(NAVER·1037억원), 삼성전자우(841억원), SK하이닉스(836억원), SK케미칼(672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565억원), 삼성전기(439억원) 등을 순매수했다.

 

지난 주 외국인이 가장 많이 판 종목은 현대차였다. 외국인은 지난 주 현대차를 593억원 순매도했다. 이어 기아차를 495억원 팔았다. 이밖에 금호석유(428억원), 롯데케미칼(401억원), 제넥신(353억원), SK텔레콤(345억원), 한국전력(274억원), 넷마블(269억원), 삼성엔지니어링(250억원), 에이스테크(207억원) 등이 외국인 순매도 상위에 올랐다.

 

원화 강세에 따른 외국인 순매수 강화가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을 통과하는 동안 관찰됐던 지독한 관망세는 이제 적극적인 매수세로 태세를 전환하고 있다"면서 "그동안 미온적이던 외국인들의 움직임이 활기를 더하는 게 특징적"이라고 말했다. 서 연구원은 "원화 강세 등 외국인 매수세가 한층 강화될 수 있는 여건인 만큼 이들이 선호하는 대형 경기민감 가치주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응형
반응형

[이데일리 김종호 김정유 이소현 기자] 미국 제46대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를 확정한 가운데 그의 경제 정책이 국내 산업계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이어졌던 통상환경의 극심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후보가 환경·노동 문제를 중시하고 법인세 인상 등 기업에 덜 친화적인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어 업종별 기상도는 엇갈리는 분위기다.


배터리,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은 그간 친환경 행보를 보인 바이든 후보의 당선을 반기고 있다. 앞서 바이든 후보는 향후 4년간 2조달러(약 2250조원)를 친환경 에너지 및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공약했다. 특히 미국 내 전기차 충전소 5만개 확충 계획을 공개해 LG화학(051910)과 SK이노베이션(096770), 삼성SDI(006400) 등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업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바이든은 오는 2035년까지 태양광 패널 5억개를 설치하겠다는 공약도 밝힌 만큼 미국 태양광 시장 점유율이 높은 한화(000880)큐셀과 LG전자(066570) 등의 수혜도 전망된다.

반면 석유화학 업계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바이든 후보는 그간 대선 토론을 통해 석유 자원 의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실제 바이든 후보는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부과하는 탄소조정세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각종 환경 규제 확대로 국내 석유화학·철강 업종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자동차 업계에 대한 전망은 다소 엇갈린다. 일단 수소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확대 정책에는 긍정적이다. 다자간 체제 복원을 통해 글로벌 무역심리가 개선되면 미국 수출길에 오르는 국내 완성차업체의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다. 현대·기아차의 미국 수출 물량은 연간 60만대에 달한다. 하지만 연비 규제 등이 강화되면 기존 자동차 산업에서의 비용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바이든 후보가 전미 자동차 노조 등 노조를 지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점도 변수다. 법인세는 물론 최저임금 인상 가능성 등이 두루 존재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들은 바이든 후보가 중국 화웨이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완화할지를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정부처럼 전면적인 규제를 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바이든 후보 역시 미국 정부의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이어갈 공산이 큰 만큼 당장 화웨이 제재 완화 등을 기대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바이든 후보의 당선이 바이오업계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바이든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폐기한 ‘오바마 케어’를 부활시키고 이를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가 주도의 의료 시스템 개선과 건강 보험 대상자 확대, 약가 통제 등을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업계에서는 활발한 신약 연구개발 투자 및 지원이 이뤄지면서 국내 바이오업계에도 수출 기회가 크게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불복해 소송과 재투표를 예고한 만큼 정부와 기업들이 상황 변화를 주시하며 신중하게 움직여야 할 것”이라며 “미국 정권 교체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리 정부의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와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확대 등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응형